R
-
[R] 벡터 연산R 2020. 10. 31. 16:22
R은 벡터 연산이라는 효과적인 연산 방식을 채택한다. R의 모든 작업은 함수를 호출해서 벡터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대 호출된 함수는 벡터 내 각 원소들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처리한다. 이러한 처리 방식을 벡터 연산이라고 한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순환 루프를 사용해서 해야 할 일을 R에서는 간단하게 벡터 자체에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사칙 연산 예를 들어 1 + 2 라는 연산도 1이라는 벡터와 2라는 벡터에 + 라는 덧셈 함수가 적용된 결과이다. + 함수는 벡터의 원소 단위로 적용이 된다. 각 원소끼리 덧셈이 적용된다. 곱셈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사칙 연산 모두 같은 방식으로 연산이 수행된다. %% 연산자는 나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 연산자는 나눈 후 몫을 취하는 ..
-
[R] 벡터 생성R 2020. 10. 31. 15:11
벡터 벡터는 R에서 다루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구조 벡터를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은 c()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c() 함수는 그 자체로 벡터를 생성하는 함수는 아니다. 인자로 주어진 벡터들을 서로 결합하는 함수이다. 이때, R에서는 하나의 원소도 하나의 벡터로 취급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원소들을 하나의 벡터로 결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2개 이상의 원소를 갖는 벡터들도 하나의 새로운 벡터로 결합할 수 있다. 홀수 벡터와 짝수 벡터를 합해보자. 이때 결합되는 벡터의 원소들은 원래의 순서를 그대로 유지한다. 콜론(:) 연산자 수열로 이루어진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콜론(:) 연산자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3으로 시작해서 9로 끝나는 수열을 만들자. 콜론 앞의 숫자가 콜론 뒤의 숫자보다 작으면 1씩 ..
-
[R] 데이터 구조R 2020. 10. 31. 14:02
R은 벡터, 팩터, 행렬, 배열, 데이터프레임, 리스트와 같은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벡터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를 원소로 갖는 데이터 집합이다.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는 가질 수 없다. c()함수를 이용하여 벡터를 만들 수 있다. 팩터(factor) 벡터의 특수한 형태로, 범주형 값을 원소로 갖는 데이터 집합이다. 5개 제품의 등급을 표현하기 위해 c(“A”, “B”, “C”, “A”, “B”)라는 벡터를 만든다. 이는 등급을 나타내기 때문에 범주형 값을 갖는 문자 벡터이다. Factor()함수에다가 이를 넣으면 팩터(factor)로 변환된다. 문자 벡터와 팩터(factor)가 다른 점은 큰 따옴표(“), 콤마(,)가 사라지고 Levels 항목에 A B C의 범주가 표시된다. 범주 ..
-
[R] 패키지R 2020. 10. 31. 02:46
R을 설치하면 기본으로 표준 패키지가 설치된다. 표준 패키지에는 기본 함수, 통계분석 함수, 그래픽 함수 등이 포함되어 있다. library() 함수 R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library() 함수를 이용한다. installed.packages() 함수를 이용하면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 형렬의 형태로 출력되는데, 행에는 설치된 패키지 이름이 나오고 열에는 버전 같은 정보가 나온다. 너무 데이터가 많아서 보기가 힘들면 Colnames(installed.packages())를 사용하여 컬럼 네임만 확인할 수 있다. 패키지 사용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다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패키지를 사용하려면 메인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한다. R을 설치할 때 표준..
-
[R] 작업 디렉토리R 2020. 10. 31. 01:39
작업 디렉토리 작업 디렉토리는 모든 입력 작업과 출력 작업이 이루어지는 기본 위치이다. 현재 설정된 작업 디렉토리를 확인하기 위해서 getwd() 함수를 사용한다. R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디렉토리를 볼 수 있다. R에서는 back slash(\)가 아닌 slash(/)로 디렉토리를 구분한다. 현재 작업 디렉토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자. C:/Users/nick1/Documents에 제대로 저장된 것을 볼 수 있다. source() 함수 source() 함수는 파일을 읽어서 명령을 실행하는 함수이다. 아래와 같이 경로를 지정해주지 않고 source(HelloR.R)만 작성하면 자동으로 작업 디렉터리에서 "HelloR.R" 파일을 찾아서 실행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