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
[R] 데이터 구조R 2020. 10. 31. 14:02
R은 벡터, 팩터, 행렬, 배열, 데이터프레임, 리스트와 같은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벡터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를 원소로 갖는 데이터 집합이다.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는 가질 수 없다. c()함수를 이용하여 벡터를 만들 수 있다. 팩터(factor) 벡터의 특수한 형태로, 범주형 값을 원소로 갖는 데이터 집합이다. 5개 제품의 등급을 표현하기 위해 c(“A”, “B”, “C”, “A”, “B”)라는 벡터를 만든다. 이는 등급을 나타내기 때문에 범주형 값을 갖는 문자 벡터이다. Factor()함수에다가 이를 넣으면 팩터(factor)로 변환된다. 문자 벡터와 팩터(factor)가 다른 점은 큰 따옴표(“), 콤마(,)가 사라지고 Levels 항목에 A B C의 범주가 표시된다. 범주 ..
-
[Python] Python의 배열! ListPython 2020. 10. 25. 20:52
List List는 여러 데이터 타입 중 가장 다양하게 자주 사용된다. List는 여러 타입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다른 언어와 달리 Python에서는 list에 숫자와 문자를 혼합하여 넣을 수 있고, list안에 다른 list도 추가할 수 있다. in in을 사용하면 list 안에 특정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 할 수 있다. 데이터가 존재하면 True, 존재하지 않으면 False가 출력된다. .index() 함수 .index()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의 위치를 알 수 있다. 특정 데이터가 list에 없는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index()함수를 사용할 때는 데이터가 확실하게 존재할 때 사용해야한다. 다음과 같이 in과 .index()를 혼합하여 작성하면 에러를 막을 수 있다. in을..